제목 : 한 권으로 독파하는 셰익스피어 이야기
지은이 : 찰스 램, 메리 램
옮긴 이 : 박 별
출판사 : 나래북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은 오늘날에도 문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작품들 중 하나로, 그 양이 방대하고 복잡하여 호기심으로 읽어보려면 용기가 필요하기에 시중 서점에서 흔히 요약본을 통해 접해볼 수 있습니다. 다수의 요약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문학사에서 그 중요성이 대단히 큰 작품들이며, 그의 희극과 비극은 그가 창조한 문학 세계에서 중요한 두 축을 차지합니다. 셰익스피어의 '4대 희극'(《한여름 밤의 꿈》, 《말광량이 길들이기》, 《십이야》, 《베니스의 상인》)과 '4대 비극'(《햄릿》, 《오델로》, 《리어왕》, 《맥베스》)은 그의 문학적 업적을 대표하는 작품들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각 장르는 인간의 삶과 감정을 탐구하는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셰익스피어가 어떻게 다양한 인간 본성과 사회적 갈등을 다루었는지 보여줍니다.
1. 희극의 특성
셰익스피어의 희극은 일반적으로 밝고 유머러스한 분위기에서 전개되며, 갈등이나 오해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웃음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인간 본성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깊은 성찰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웃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셰익스피어는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머와 기쁨을 제공하며, 그 안에서 인간 심리의 복잡함을 드러냅니다.
《한여름 밤의 꿈》
이 작품은 마법, 사랑, 변신 등의 요소를 통해 복잡한 갈등을 풀어갑니다. 등장인물들이 겪는 사랑의 혼란과 갈등은 결국 해소되며, 작품은 희극적 전개와 낙관적인 결말을 맞이합니다. 사랑과 감정의 복잡함을 다루면서도, 그 속에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과 마법적인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점에서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희극의 전형적인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말광량이 길들이기》
이 작품은 부유한 상류층의 가문에서 벌어지는 결혼과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페트루키오와 카타리나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성격의 충돌은 유머러스한 방식으로 다루어지며, 여성과 남성 간의 권력관계와 사회적 기대를 풍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희극 중에서도 성격과 사회적 제약에 대한 깊은 성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십이야》
이 작품은 신분과 성별을 넘나드는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주인공들이 사랑과 정체성, 상속 문제를 겪는 동안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갈등을 해결하며, 결말은 모든 문제가 해소되는 형태로 마무리됩니다. 셰익스피어는 여기서도 인간 본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풍자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사랑과 오해가 어떻게 인생을 변화시키는지를 탐구합니다.
《베니스의 상인》
《베니스의 상인》은 상업적 갈등과 인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입니다. 안토니오와 샤일록의 계약을 둘러싼 갈등이 전개되며, 작품은 사회적, 종교적 갈등을 다룹니다. 비록 작품은 유머와 흥미로운 전개를 가지고 있지만, 경제적 및 도덕적 갈등의 복잡함을 탐구하며 관객에게 심각한 사회적 메시지를 던집니다.
2. 비극의 특성
셰익스피어의 비극은 인간 내면의 갈등과 도덕적 딜레마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종종 주인공이 자신의 고뇌를 해결하지 못하고 비참한 결말을 맞이하게 됩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은 인간의 복잡한 감정, 인간 존재의 본질, 도덕적 선택의 문제를 심오하게 탐구하며, 그 결말은 곧 고통과 파멸로 이어집니다.
《햄릿》
《햄릿》은 셰익스피어의 가장 유명한 비극으로, 복수와 배신,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작품입니다. 햄릿은 아버지의 복수를 결심하지만, 복수의 실행에 대한 내적 갈등과 고뇌에 빠지며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합니다. 이 작품에서 등장하는 "살려야 할 것인가, 죽여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인간 존재와 도덕에 대한 중요한 철학적 물음을 던집니다.
《오델로》
《오델로》는 질투와 배신을 주제로 한 비극입니다. 오델로는 이아고의 음모에 속아 아내 데스데모나를 죽이게 되며, 그로 인해 자아와 도덕적 고뇌에 시달립니다. 질투라는 감정이 인간의 이성을 어떻게 파괴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며, 인간의 심리와 감정이 어떻게 파국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제공합니다.
《리어왕》
《리어왕》은 권력과 배신, 인간 존재의 고뇌를 탐구하는 비극적인 이야기입니다. 리어왕은 자신의 왕국을 세 딸에게 나누어주면서 갈등이 발생하고, 결국 자신의 선택에 의해 파멸을 맞이하게 됩니다. 이 작품은 인간의 어리석음과 이기심이 어떻게 파국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고통과 갈등의 깊이를 탐구합니다.
《맥베스》
《맥베스》는 야망과 죄의식, 권력의 탐욕이 중심이 되는 이야기입니다. 맥베스는 왕위를 차지하려는 야망에 사로잡혀 살인을 저지르고, 그로 인해 죄의식과 내적 갈등에 시달리며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합니다. 이 작품은 인간의 야망이 어떻게 자아를 파괴하는지, 그리고 도덕적 오류가 인간을 어떻게 파멸로 이끄는지를 탐구합니다.
3. 비교 분석
셰익스피어의 4대 희극과 4대 비극은 모두 인간 본성과 사회적 관계, 감정의 복잡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희극은 주로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유머와 해소를 제공하며, 결말은 대개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방향으로 마무리됩니다. 반면, 비극은 인간 내면의 갈등과 도덕적 선택의 문제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그 결말은 고통과 파멸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희극에서는 갈등이 대체로 해소되며, 인물들은 결국 개인적, 사회적으로 화해하며 결말을 맞이합니다.
《한여름 밤의 꿈》과 《베니스의 상인》과 같은 작품에서는 기발한 전개와 유머를 통해 갈등이 해결되며, 관객에게 즐거움과 기쁨을 선사합니다. 반면, 비극에서는 인간의 내적 갈등과 감정이 복잡하게 얽히며, 그 결말은 고통과 슬픔으로 이어집니다. 《햄릿》과 《오델로》는 인간의 잘못된 선택이 어떻게 파국을 초래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셰익스피어는 희극과 비극을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며, 인간의 감정과 갈등, 사회적 관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했습니다. 희극은 웃음과 즐거움을 제공하면서도 인간 본성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비극은 인간 존재의 고통과 불완전성을 드러내며 깊은 감동을 선사합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교훈과 감동을 주며, 셰익스피어의 문학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이 책에서는 상기 작품들외에 4대 로맨스 등 추가적으로 더 많은 작품들을 접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책이 너무 요약되어 내용 파악이 다소 난해할 수 있다는 점은 아쉬운 점이지만, 요약본을 시작점으로 접하고 흥미를 느낀 후, 원작을 읽어가며 그 속에 숨겨진 깊은 의미와 메시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식한모금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VE A NICE DAY - 한국이 싫어서 (82) | 2025.02.02 |
---|---|
제주에서의 삶을 꿈꾸신다면 - 거침없이 제주이민 (99) | 2025.02.02 |
인간의 본성과 선택에 대한 깊은 성찰 - 맥베스(Macbeth) (43) | 2025.02.02 |
권력의 무상함 - 리어왕(King Lear) (50) | 2025.02.02 |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 햄릿(Hamlet) (4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