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달쏭 부동산

전국 주간 아파트 동향 분석 (2025년 2월 첫째주)

Talkative Jay 2025. 2. 13. 19:22
반응형

 

2025 2월 첫째 주 아파트 시장은 전반적으로 지역별로 상이한 동향을 보였습니다. 전체적으로는 매매가격이 소폭 하락했으나, 서울을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는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지역별로 시장의 특성과 수요, 공급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진 :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

 

 

 

☞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의 자료에 따르면, 20252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전 주의 하락폭이 0.05%였기 때문에, 이번 주에는 하락세가 둔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매가격 하락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매매가격이 더 이상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매매가격의 하락폭 축소는 향후 시장 안정화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주목됩니다.

 

  수도권 및 서울 동향

수도권은 0.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락폭이 축소되었습니다. 이는 수도권 내에서 일부 지역은 가격 하락이 계속되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하락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서울은 0.02% 상승하여 상승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서울의 경우, 25개 자치구 중 20곳이 상승세를 보였다는 점이 매우 눈에 띄는 특징입니다. 강남권(강남, 서초, 송파)과 한강 벨트 지역(용산, 마포, 광진, 양천)에서는 두드러진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강남권은 주택 수요가 여전히 강하게 유지되고 있어 가격 상승을 이끌었고, 한강 벨트 지역도 교통, 생활 편의성이 우수하여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는 서울의 부동산 시장이 재차 상승세로 전환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으며, 향후 시장 상황을 더욱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방 동향

지방의 매매가격은 0.06% 하락하며, 하락폭이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충청권에서의 하락폭 감소가 두드러졌지만, 여전히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방 시장의 불안정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지방 아파트 시장은 수도권에 비해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고, 지역 경제 상황이나 인구 감소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하락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지방의 중소도시나 지방 일부 지역에서는 아파트 매매시장이 침체된 상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전세가격 동향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도권과 서울의 전세가격은 변동 없이 보합세를 기록했으며, 지방에서는 전세가격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서울 내 전세시장은 여전히 수요가 많지만, 매매가격 상승에 따른 전세물건의 부족 현상도 발생하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 전세가격의 상승 압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방의 전세시장은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침체된 상태가 지속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종합적인 시장 동향

20252월 첫째 주 아파트 시장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보면, 전반적인 매매가격은 소폭 하락했지만 서울과 일부 수도권 지역은 상승세를 보였고,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서울의 주요 지역에서는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강남권과 한강 벨트 지역은 안정적인 수요를 바탕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방은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특히 충청권에서 하락폭이 다소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있는 점이 주목됩니다.

전세가격은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보였으며, 서울은 여전히 수요가 많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지방은 소폭 하락한 지역이 존재했습니다. 이는 지역별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 따른 결과로, 향후 각 지역별 시장 특성에 맞춘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전망

20252월 첫째 주 아파트 시장은 지역별 특성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서울과 일부 수도권 지역은 상승세로 전환된 반면,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보였고, 전세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하며 지역별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동향은 주택 시장의 지역별 특성과 수요, 공급의 변화에 따라 계속 변동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향후 주택 시장의 전망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역별 시장 특성에 맞춘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